설측치아교정 차이? 설측교정과 일반교정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
겨울방학이 되면 치아교정을 위해 치과를 찾는 학생 환자가 많습니다. 특히 치아교정을 막 시작할 즈음에는 여러 번에 걸쳐 치과를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여유로운 방학 시즌에 교정을 시작하는 것이죠. 아무래도 교정 초반의 통증도 방학 시즌이니 부담이 덜하고요.
바야흐로 11월이 되며 치아교정 계획을 세우는 학생들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교정 초반에는 방학이니 부담이 덜하겠지만 방학이 끝나고부터는 어떻게 해야 할지 난감한 부분도 있을 텐데요. 사춘기에 들어선 학생이라면 외모에도 관심이 많기 때문에 치아교정이 반가울 리 없습니다. 다행히도 최근에는 티 나지 않는 교정장치가 속속 등장하여 이러한 고민들을 해결해 주고 있는데요. 표적인 것이 바로 설측교정입니다.
일반치아교정과 설측치아교정차이는 분명합니다. 일반교정은 교정장치를 잘 드러나 보이는 치아의 바깥면에 부착합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치아교정 하면 떠올리는 이미지가 있죠. 새하얀 치아에 마치 철길이 놓인 듯한 모습의 교정장치 말입니다. 그것이 일반교정(순측교정)입니다.
반면 설측교정은 겉에서 봤을 때 드러나지 않는 치아의 안쪽면에 교정장치를 부착합니다. 혀와 맞닿은 면을 말하는 것이죠. 일부러 입을 크게 벌려 보여주지 않는 이상은 상대방이 교정 중이라는 사실을 알아채기 어려울 정도로 심미성이 뛰어난 교정방법입니다.
다만 설측교정은 치아의 안쪽 면에 장치를 부착하다 보니 치아간 거리가 좁아지면서 치아 이동에 필요한 힘을 주기가 어려워집니다. 공을 멀리 던지기 위해서는 팔을 최대한 길고 넓게 뻗어야 하는 이치를 생각해 보면 쉽게 이해가 가는데요. 게다가 치간 거리가 좁아지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미세하게 치아를 움직이는 데에도 제약이 생깁니다. 그러다 보면 치아 이동 속도도 느려져 전체적인 교정기간도 길어지고 말지요. 만약 덧니나 돌출입을 교정한다고 했을 때 만족도가 떨어지는 결과를 얻게 될 가능성도 큽니다.
하지만 심미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환자들의 입장에서는 그렇다 하더라도 설측교정을 포기하기가 쉽지 않을 텐데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교정이 있습니다. 바로 탄댐설측교정입니다. 탄댐설측교정은 두 개의 와이어를 사용해 치아의 쓰러짐을 방지하는 한편 치아의 뿌리까지 필요한 힘을 보낼 수 있고, 정교하게 치아를 움직일 수 있도록 돕습니다. 설측교정의 단점을 확실하게 보완하는 길이 생긴 것이죠.
만약 설측교정을 결심하고 비용에 대한 부담이 있다면 잘 보이는 윗니는 설측교정으로, 입술에 가려서 잘 드러나 보이지 않는 아랫니는 순측교정으로 진행하여 경제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습니다.
가지런이치과에서 설측교정 및 콤비교정을 받길 원하신다면 아래 링크를 방문하여 도움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가지런이치과 > 치아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측교정의 단점이 걱정이라면 이제 그만! (0) | 2021.12.02 |
---|---|
티 나지 않는 교정! 콤비교정 장치 선택해서 할 수 있어요 (0) | 2021.11.16 |
반포 치아교정 설측교정 장단점 한 눈에 알아보기 (0) | 2021.11.02 |
반포부분교정! 티나지 않는 설측교정으로! (0) | 2021.10.19 |
40대 설측치아교정 가능할까? 중장년층 티 안나는 교정으로 편하게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