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치가 있는데 치아교정 가능할까요? 정답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두 치료가 끝난 상태여야 가능하겠죠. 충치뿐 아니라 잇몸에 염증이 있어도 치아교정 장치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모든 문제를 치료한 후에 진행하는 게 좋습니다. 장치를 착용한 후에도 관리를 소홀하게 한다면 잇몸질환이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더더욱 유의하셔야 하는데요. 충치가 심한 경우에는 교정치과를 방문해 상태를 확인한 후에 진료를 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치아를 때우는 치료를 하게 될 경우에는 교정치료가 힘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꼭 상담을 진행한 후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데요. 충치가 너무 심해 발치를 하게 되는 케이스도 있으니 임플란트를 하기 전에 꼭 내원해 주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임플란트를 이미 식립한 후에는 치아이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치열 변화가 쉽지 않은데요. 인공치 식립과 치아교정의 개선을 염두하고 계시다면 치열 진단을 한 후 계획을 수립해야 하겠습니다.
치아교정을 하면 충치가 더 잘 생긴다고 알고 계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사실 치아교정 장치가 붙어 있는 교정 중에는 충치가 더 잘생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됩니다. 교정장치들로 인해 구강 내에 상처가 생기는 불편함도 생기고 있는데요. 이는 일시적인 현상이기 때문에 교정치료가 끝나면 해결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또 구강 장치로 인해 입안의 구조가 복잡해면서 위생관리가 어려워 충치나 치주질환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게 되는데요. 바쁜 직장인들이 오랜 시간 양치질에 투자해 입 속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을지 자신이 없는 분들도 많아 치과와 가정에서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교정 중에 관리를 소홀하게 하면 세균들이 장치에 부착하게 되고 성장해 치태가 형성되는데요. 치태는 구취, 충치,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칫솔질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일반 칫솔보다는 가운데 홈이 파인 교정전용 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치간 칫솔이나 치실 등을 함께 사용해 꼼꼼하게 관리해주는 게 좋습니다.
교정치료는 난이도가 높고 개인별 치아 상태가 다르기 때문에, 의료진의 경험부터 원내 배치된 검사기기까지 꼼꼼히 체크 후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치아교정 장치의 종류도 메탈교정부터 세라믹 교정, 자가결찰교정, 투명교정, 설측교정 등 다양하게 준비 되어있는데요. 때문에 정밀 진단과 분석 후 개인의 상태에 따라 효과적인 교정 장치를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의료진과 꼼꼼한 분석과 충분한 상담 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개인의 구강 상태에 따라 치아교정에 차이가 있지만 짧게는 6개월, 길게는 3년 정도의 시간 동안 진행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태에 따른 맞춤 장치, 맞춤 치료법, 장치 제거 후 유지관리 또한 꼼꼼하게 고려해야 하겠죠?
더 자세한 내용은 직접 방문해 상담을 받아보는 것인데요. 아래의 배너를 클릭하면 도움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가지런이치과 > 치아교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아교정 하고 있다면 꼭 고쳐야 할 습관 (0) | 2022.07.07 |
---|---|
신논현 교정 없는 돌출입 개선! 극복 사례 (0) | 2022.06.27 |
1급, 2급, 3급 부정교합 구분하는 방법 (0) | 2022.06.14 |
덧니 교정 부분으로 시작할 수 있을까? (0) | 2022.04.14 |
신/논현역 교정치과 콤비로 덧니 잡기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