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지런이치과/구강상식

치과 진료 후 치료수명은 얼마나 될까? 줄어드는 건 아닐까?

 

안녕하세요? 가지런이치과입니다. 

 

 

많은 사람이 치과 찾는 것을 기피하는 이유는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과 더불어 고액의 진료 비용 때문일 텐데요. 특히나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어가는 보철 치료의 경우는 여간 부담스러운 것이 아닙니다. 하지만 보철 치료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들을 생각한다면 안 할 수도 없는데요.
해서 보철 치료를 받는 환자들은 들어간 비용만큼의 가치가 있느냐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습니다. 보철 치료를 받은 후 의료진을 향해 “얼마나 오래 가나요?” “치과 치료수명은 얼마나 되죠?”라고 묻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이지요. 하지만 의료진들도 자신 있게 답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닙니다. 

 

 

보철물의 평균적인 수명에 대해서는 이미 여러 연구가 답변을 내놓고 있습니다. 연구 논문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크라운이나 브릿지의 경우는 대체로 10년 정도를 평균 수명으로 이야기하지요. 그러나 이마저도 확답을 드릴 수는 없습니다. 특수한 경우를 포괄할 수는 없고, 아무리 잘 만들어진 보철물이라고 해도 환자의 생활습관이나 구강관리습관, 전신건강 상태에 따라 구강 환경 또한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또 많은 환자가 아프기 전에는 치과를 방문하지 않습니다. 통증이 없으니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죠. 이 말은 아프지 않으면 보철물의 수명이 그만큼 오래 간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의료진의 입장에서는 통증이 나타나지 않아도, 즉 심각한 문제가 생기지 않더라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보철물의 수명이 끝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치아는 무척이나 튼튼한 신체기관 중 하나입니다. 강한 힘을 줄 수 있고, 온도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신경이 손상되기 전까지는 아픔을 느끼지도 않지요. 그러나 안타까운 것은 통증이 느껴지기 시작하면 이미 늦은 상황이 많다는 사실입니다. 많은 경우 발치를 해야 할 수도 있지요. 결국 환자가 생각하는 보철물을 수명과 의료진이 생각하는 보철물의 수명은 차이가 납니다. 

 

게다가 보철물 안쪽으로 발생하는 충치는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한데요. 엑스레이를 찍는다고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보철물의 평균적인 수명이 다한 후에 보철물을 제거한 후 새로 치료를 받아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지요.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이상을 발견하고 보철물을 한 경우와 치아가 망가질 대로 망가진 상태에서 보철물을 한 경우도 수명에 차이가 납니다. 당연히 전자의 경우가 수명이 길지요. 후자의 경우는 보철물을 교체하는 시기도 빨라질 것이고, 완벽한 치료의 개념보다는 단 몇 년이라도 편하게 쓸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표를 둘 수 밖에 없습니다. 
보철물의 수명이 얼마나 되는가 보다는 평소 구강 관리에 힘쓰고, 정기적으로 치과를 찾아 검진하는 편이 건강한 치아를 오래도록 보존하는 길임을 잊어서는 안 되겠죠? 보철물을 한 경우라도 통증이 느껴지기 전에 치과를 찾고, 의료진의 권고에 따라 제때에 보철물을 교체할 수 있어야겠습니다. 

 

 

교정전문치과 본원에서 교정을 받은 경우도 정기적인 검진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치과를 두려워만 말고 평생의 동반자로 여기며 건강한 치아로 백세까지 누릴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