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지런이치과/치아교정

치아교정 장치 차이점이 있을까? 신논현 가지런이치과

교정장치마다 어떤 차이가 있을까?

‘치아교정’이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치아 표면에 기찻길과 같이 부착된 브라켓과 철사가 떠오를 거라 생각됩니다. 가장 일반적인 교정장치의 이미지인데요. 치아교정의 기술이 발전하고, 대중화되면서 치아교정장치 역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생활방식이나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이냐에 따라 환자들은 교정장치 선택의 폭이 무척 넓어진 것인데요. 막상 교정을 시작하려고 보면 도대체 치아교정장치차이점이 무엇인지 몰라 선택장애에 빠질 때가 있습니다. 해서 오늘은 치아교정장치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교정방식은 순측교정입니다. 치아의 앞면에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순측교정의 한 종류인 메탈교정이 흔히 치아교정을 생각하면 떠올리는 기찻길 이미지의 주인공입니다. 내구성이 좋고 저렴한 비용, 확실한 교정 효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심미성 면에서는 기찻길 이미지를 구축한다는 단점이 있지요.


다음으로는 설측교정이 있습니다. 순측교정과는 다르게 치아의 뒷면에 교정장치를 부착하는 방식이죠. 당연히 겉으로 보기에 교정장치가 전혀 티 나지 않아 심미성 면에서는 탁월한 편입니다. 또 순측교정과 비교했을 때 충치 발생률이 적다는 것과 치아의 앞면이 변색되지 않는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그러나 비용 부담이 크다는 점은 단점으로 작용합니다. 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콤비교정을 권하기도 합니다. 상대적으로 잘 드러나 보이는 윗니는 설측교정으로, 입술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 아랫니는 순측교정으로 진행하는 것이죠. 심미성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교정을 받을 수 있어 선호도 및 만족도가 높습니다. 

 

위 사진은 돌출입 교정 전후 모습입니다. 

심미성에 있어서 투명교정도 빼놓을 수 없는데요. 투명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투명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를 입체적으로 스캔하여 환자 맞춤형 장치를 제작합니다. 또 이후의 치아 이동 양상을 예측하며 미리 장치를 제작해 두지요. 치아의 움직임에 따라 장치를 교체하면 됩니다. 심미성이 높은 것은 물론이고 환자 스스로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구강 위생 관리에 있어 무척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투명교정은 적용 범위가 좁습니다. 치아의 벌어짐이 심하지 않은 경우나 역시 심하지 않은 덧니 등 가벼운 증상에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발치가 필요한 고도의 교정에는 적용할 수 없습니다. 

 

치과를 찾는 환자들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 환자에게 특정 교정 방식을 강요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다만 환자별로 구강구조나 치아 및 턱뼈의 크기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환자 맞춤형 교정이 중요합니다. 가급적 환자들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면서도 의학적으로도 만족스러운 지점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의도 필요합니다. 
교정을 위해 상담이 필요하다거나 가지런이치과 예약을 원하시는 분은 하단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